용산구청 전경
이세원 기자letshbc@gmail.com
박희영 용산구청장이, 지난해 12월 26일 이태원 참사와 관련하여, 안전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않은 혐의로 구속기소 된 가운데, 총선을 1년여 앞두고, 오는 4월 5일 치러질 보궐선거에서 용산구청장 선거가, 향후 총선 정국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초미의 관심사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 6일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3월 8일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누가 지도부에 선출되든, 4월 보궐 선거가 치명적일 수 있다”라고 강조하며 “3월이 되면 지역에서 박희영 용산구청장에 대한 사퇴 여론이 나올 것”이라면서 결국, 4월 보궐선거에 용산구청장 선거도 포함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용산 구민들 입장에서, 구청장 구속에 따른 행정 공백 사태 장기화로 인해, 사퇴 요구 압력이 거세질 것이고, 민주당에서도 구청장의 사퇴를 강하게 요구하며, 국민의힘에 구청장 선거 무공천에 대한 압박을 지속할 것”이라면서 보궐 선거가 치러질 경우 “용산구청장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이 ‘무공천' 해야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와 관련하여, 박지원 전 국정원장 역시 “국민의힘은 당연히 무공천 해야한다”라며 “민주당도 전주 선거에 무공천 하지 않느냐. ‘이태원 참사’의 실질적 실무책임자가 용산구청장인데, 무슨 낯으로 국민의힘에서 용산구청장 공천을 하겠느냐”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 전 대표는 “국민의힘이 전당대회를 마치고, 용산구청장 사퇴와 무공천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결정한다면, 시간이 너무 촉박하여 선거가 한 달도 남지않은 시점에서, 하루라도 빨리 국민의힘 지도부에서 박희영 구청장의 사퇴를 유도하고, 무공천을 선언해야 한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만약 그렇게 되면 총선 1년을 앞두고 보궐선거가 치러질 텐데, 대통령실이 위치해 있는 상징성이 큰 용산에서, 집권 여당이 폐하게 된다면, 보궐선거 폐배로 인한 리스크가 크고, 곧바로 당 대표 위기로 온다. 그것이 싫다면, 무공천 선언을 해야 하는데, 그렇다고 민심을 피해 가기는 어렵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역 정가에서는, 박희영 구청장이 대법원까지 끌고 갈 경우, 행정 공백 사태 장기화로 인해, 박희영 구청장의 사퇴 압력이 봇물을 이룰 것이고, 이로 인한 심각한 민심 이반은, 결국 총선을 1년여 앞두고, 용산이 지역구인 권영세 의원 역시, 정치적으로 치명타를 입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mankyu1007@naver.com
본 기사는 한국공보뉴스와의 계약없이 전문 또는 일부의 전재를 금합니다.
뉴스미란다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한국공보뉴스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kpnnews@naver.com) / 전화 : 1588-9974
- 정치/경제/사회
- 교육/문화/관광
- 보건복지/방재/환경
- 농수축산/산업/개발
- 스포츠/연예
- 읍면동/통신원